2010년 6월 28일 월요일

대학 동창 산악회 '10-6-27

천안 전철역 출찰구. 승차권 자동 판매대위 시계는 10시 29분.

 

지난 주 금요일 주말에 장맛비가 시작된다는 기상 예보로 걱정이 많은데 산악 회장이 보낸 문자 메씨지는 산행을 강행한다고 ... 이런 젠장. 된장  >_<  아침에 비만 오면 뭉갤 생각으로 알람은 6시에 맞춰 놓고 겨우 잠들었는데 잠이 먼저 깬다. 간밤에 우루과이와 게임에서 이기고 골에서 진 것이 분해 잠을 못잤는데도...

 

7시 27분 일산 마두역에서 출발, 종로 3가에서 1호선으로 환승 신도림역에 도착하니 8시45분 쯤 되었다. 천안행 급행 전철을 타고 천안으로 ...처음 타 보는 천안행이다간밤에 잠을 못자 차안에서 마냥 졸다 자다하다 보니 천안역에 도착. 10시 25분 경.. (모든 사진을 클리하면 확대된다.)

 

회장 노릇하기도 힘들다. 다른 사람은 쉬고 있는데 광덕사행 버스시간표를 혼자 체크하고 있는 우리 회장.

이전에는 천안의 명물 호두과자.. 건성으로 들었다. 왜 천안의 명물이 호두과자인지 호기심도 없이 그냥 맛있어서 먹었는데 호두에 걸린 전래의 역사가 있었다네.. 처음 알았다. 위는 호두 전래 사적비.

 

전설에 따르면 약 700년전에 고려 충렬왕 16년 (1290년) 9월에 영밀고 유청신이 원나라에 갔다 돌아올 때 호두나무 묘목과 열매를 거져와 묘목은 광덕사 경내에 심고 열매는 자신의 집 뜰에 심었다고 한다. 이것이 우리나라에 호두나무가 전래된 시초가 되었다고..  그의 후손과 이 지역 주민들의 노력으로 광덕면 일대에는 25만 8천여그루의 호두나무가 재배되고 있다. 강가 양쪽 둑과 도로 가에는 호두나무가 널부러지게 많은데 호두가 주렁주렁 매달려있다.

오늘 참석인원 모두 아홉명... 한 사람이 모자란다. 어디? 사진찍고 있다. ㅋ  맨 왼쪽이 나와 학번이 같은 동창 친구. 가운데 두건을 두른이가 김 일영회장.

 

 

 

정상(699.3 m)을 올라오는데 한시간 40분이 넘게 걸렸다. 하산은 한 시간이 안 걸린 듯. 광덕산은 높이에 비해 산세와 조망이 뛰어나 아산, 당진, 서산뿐만 이니라 평택, 천안, 대전 등 충남북 일원을 한 눈에 조망할 수 있는 산이라고 한다. 날씨가 좋으면 한낮에는 서해바다, 평택항이, 한 밤중에는 서해대교의 야경이 바라보일 정도라고 하는데... 안개가 심해 가시거리는 100 미터가 안되는 것 같다.

 

올라오는 길이 가파른 비탈이라 많이 힘들었다. 북한산 깔딱고개정도 아니면 더 심한가? 

 

전설과는 달리 나무앞에 있는 안내판에는 대한민국 제1호 호두나무의 수령은 400 여년으로 추정한다고 되어있다. 늙은 나무임에도 나뭇가지에는 호두가 주렁주렁 열려있다.

 

Hybrid 2014년 140만대 판매

전기 자동차(EV)가 서서히 자리를 잡아가고 있으나 최근 J. D. Power의 연구 결과는 하이브리드가 자동차의 대체 에너지 원으로 앞으로 몇 년동안은 우위를 이어 갈 것으로 전망했다.

 

J. D. Power는 배터리로 작동되는  자동차는 2015년에는 총 300 만대가 판매될 것이며 그중 140 만대는 재래식 하이브리드일 것이라고 말했다.

재래식 하이브리드 판매는 2009년에 간신히 30 만대를 넘었기때문에 2015년에 140 만대 판매된다는 것은 상당한 성과이다. 만일에 하이브리드가 J.D.Power가 예상한대로 판매된다면 전체 자동차 판매의 10 퍼센트나 되는 것이다.

 

차세대 기술에 대하여 주목하고 있지만 선진 기술의 자동차가 나오더라도 초기 소비자들로 부터 받아들여지기 까지는 재래식 하이브리드가 당분간 더 판매될 수 있는 여지가 있다는 것이다. 다시 말해서 전기자동차가 떠오르고 있으나 하이브리드는 자동차 시장에 계속 나올 것이라고 이번 연구 결과는 시사했다
 

[Source: J. D. Power]

2010년 6월 27일 일요일

재미있는 주말 영어

The Emergency

 

A well respected surgeon was relaxing on his sofa one evening just after arriving home from work. As he was turning into the evening news, the phone rang. The doctor calmly answered it and heard the familiar voice of the colleagues on the other end of the line.

"We need a fourth for poker." said the friend.
"I'll be right over," whispered the doctor.
As he was putting on his coat, his wife asked , "Is it serious?"

"Oh yes, quite serious," said the doctor gravely.
"In fact, three doctors are there already."

 

한 명망있는 외과 의사가 퇴근하고 집에 돌아와 소파에 앉아 쉬고 있었다. 

그가 TV 체널을 돌려 저녁 뉴스를 들으려고 하는데 전화 벨이 울렸다.

그는 젊잖게 전하를 받았고 상대방은 병원에서 같이 근무하는 동료 의사 목소리가 들려왔다. 

 

"지금 네명이서 포카를 치려고 하는데 한사람에 부족해." 저쪽 친구가 말했다.

"그래, 바로 갈께." 그 의사가 속삭이듯 말했다.

그는 옷을 다시 입고 있는데 그의 부인이 물었다. "위급한 상황이래요?"

 

"아, 그래. 아주 위급하다네." 그는 근엄하게 댑답했다.

"이미 세 의사는 대기 중이라고 하는구만."

 

어렵게 놓고 쉽게 내준 경기다.

늘 그랬듯이 전반 시작하자 마자 6-7분지나 어이없게 한 골. 아이쿠~!

그러나 경기 내내 우루과이는 아무것도 겁낼 것도 없는 상대였다. 우리 선수들이 그들을 농락할 수 있었다. 공 점유시간이나 패스 성공율은 우리가 월등하여 경기를 이끌어 나갔다. 하지만, 이청용의 슛으로 아주 어렵게 한 골을 얻었지만(사진) 후반에 그냥 싱겁게 또 내줘 8강의 꿈은 물거품이 되었다.

우리는 왜 어렵게 얻은 것을 그렇게 쉽게 내주나요?

 

하지만 우리 태극 전사들 우리의 목표가 16 강이었기 때문에 그것만으로도 잘 싸워주었다고, 수고했다는 말하고 싶다.

2010년 6월 26일 토요일

일산 호수공원의 겨울

장마가 시작된다고 한다. 무더위를 잊으시라고.. 2010-2-11 일산후수공원

2010년 6월 25일 금요일

FCEV 친환경차 대세가 된다.

자동차 메이커들이 전기자동차(EV)에 주의를 기울이는 가운데 수호연료전기차(FCEV)은 이전과 같은 관심을 받지 못하고 있다. 언제쯤 전기자동차와 수소연료배터리차 중 어느 쪽이 대세를 이룰지 모르지만 몇 군데의 연구조사에 따르면 배터리 자동차(EV)가 수소연료차(FCEV)보다 앞설 것이라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최근 파이크 리써치(Pike Research)의 조사에서 수소연료자동차가 폭발적으로 양적인 증가가 예상된다고 한다. 파이크는 수소연료차(FCVs) 판매가 2020년에는 연간 670,000 대에 이를 것이라고 전망했다.

 

여기서 예상한 숫자는 다른데서 전망한 것보다 크지만 이 조사연구에서는 앞으로 십년동안 자동차 메이커들은 수소연료 기술을 빠른 속도로 채택하여 연간 생산을 늘릴 것이라고 했다.

 

670,000 대의 FCVs 연간 판매에서 미국이 가장 많을 것으로 134,049 대 , 중국은 129,241대, 독일은 상위 세째로 126,783 대의 년 판매량을 보일 것이라고 했다. 아직 파이크가 무엇을 근거로 저런 숫자에 자신을 가지고 말하는지는 몰라도 아무튼 조사 결과는 상당히 낙관적으로 이런 전제하에 필요한 재충전의 기반시설은 2020년까지는 만들어질 것이다. 기반시설이 없이는 FSVs는 파이크가 제시한 수치는 될 수가 없다.

 

수소연료 산업의 애널리스트 데이브 허스트(Dave Hurst)는  다음과 같은 사실을 언급했다.

"수소연료차 시장은 두 가지의 밸런스가 맞아야 하는데 그것은 수소연료 충전 시설과 수소연료 배터리 자체의 개선입니다." 라고 했다.

 

여기(http://www.markjuhn.com/1802)를 클릭하면 얼마전 현대/기아의 FCEV 집중 개발 소식을포스팅 한 것을 읽을 수 있다.

 

[Source: study from Pike Research]

2010년 6월 24일 목요일

소나타 연비가 28km/L !!!!

얼마전에 하이퍼-마일러 웨인 거즈(Wayne Gerdes)씨가 2011년 신형 소나타로 연료 탱크에 가득 주유하고 1,000 마일 주행을 시도한다는 보도를 본 일이 있었다. 거즈와 그의 동반자는 미국 중부지방 위스컨신 주 밀워키에서 보통휘발유 16.06 갤런 (60 리터)으로 동부지방 뉴욕 주 롱 아일랜드까지 가는데 성공했다.

이번 주파한 거리는 총 1,065.2 마일(1,704.32 km)로 1 갤런으로 66.285 마일(28.02 km/L)의 대단한 신 기록이다. 이 차는 일반 수동 변속기에 하이브리드도 디젤 엔진도 아닌 2011년형 보통 휘발유 엔진 소나타. 2011년형 소나타의 EPA 공인한 마일리지는 시내 주행 24 mpg, 고속도로 주행시 35mpg (14.8 km/L)이다.

 

이렇게 소나타가 연비가 좋다고 하지만 이 차의 연비를 66 mpg로 운전한다는 것 대부분의 운전 조건에서 기대하기 힘들다. 40 mpg 마저도 불가능하다. 거즈씨는 운전하는 동안 한 눈은 Scan Gauge II 에 고정하다시피 했는데 그것은 휘발유 한 방울이라도 최대한의 주행거리를 얻기 위한 것이었다고. 이런 끊임없이 요구되는 집중력이 대부분의 운전자에게는 불가능 한 것이라고 한다.


앞으로 소나타에 대한 평가는 대단한 호응을 얻게되었다.
 
주: 하이퍼 마일러(hyper-miler)는 자동차 운전에 연비를 최대한으로 올리는 특별한 운전 기술을 가진 사람.

[Source: Autoblog Gree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