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7년 3월 7일 수요일

한국사회의 중병(重病), 집단이기주의 < 프라임경제 >

User inserted image

한국 현대사에서 6·25 전쟁 이후 가장 큰 국가적 환란이 무엇이냐 묻는다면 나는 단연 IMF 외환위기라 답할 것이다.

경제는 추락하고, 불안과 절망의 탄식들이 거리를 덮었으며, 이대로 가다가는 정말 나라가 망할지도 모른다고 생각했던 그 엄청난 공포의 기억은 아직도 많은 사람들의 뇌리에 남아 있다. 
다행스럽게도 우리는 그 환란을 빠르게 극복했다.

전 세계인들이 놀라워했다. 특히 2002년 월드컵은 우리에게 국가적 자신감을 불러일으킨 획기적 이벤트였다.

성숙한 시민의식, 건강한 애국심, 전 국민적 화합의 몸짓 등은 이제 우리도 당당히 세계무대의 주역이 될 수 있다는 확신을 가져오게 했다. 그것은 또 우리 사회가 진정한 선진사회로 발전하는 새로운 가능성의 발견이기도 했다. 

펼쳐두기..


Overcoming “pure-blood nationalism” to become an “open-minded society” < Asia Economic Daily >

Column contributed by Mark Juhn / CEO of Hyundai Corporation


Korea has, for a long time, been accustomed to a belief in pure-blood nationalism and a homogenous nation.

 

The mindset of the mainstream up until now was that blood is thicker than water, and this thick blood should be none other than Dangun (the founding father of the Korean nation) blood. This kind of pure-blood nationalism, however, won’t be regarded as the mindset of the mainstream any longer.

 

A case in point is Hines Ward, a Korean-American sports star of the United States’ National Football League who recently visited Korea, and his mother Kim Young-hee. His father being an African-American soldier stationed in Korea in the past has led to the rapid, widespread interest in mixed blood families and multi-ethnic societies in Korea. In response to the frenzy demonstrated by Koreans over her son’s success, Kim Young-hee fiercely criticized the pure-blood nationalism of Korea by saying, “When did Koreans ever treat black people as human beings?”

 

펼쳐두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