잘 알다시피 아르헨티나는 탱고의 나라다. 탱고의 나라인 아르헨티나과 우루과이는 다른 남미 여러나라 국민들과 다르다는 것을 나는 개인적으로 느꼈다. 어딘지 모르게 배타적인 것 같았다. 표정도 밝지가 않았다. 남미의 다른 나라 같지 않고 이곳은 사람들은 친절한 것을 느낄 수가 없다. 나만 그렇게 생각했는지도 모르지만.
이 나라 경제 상황으로 봐서 자동차 판매가 늘어날 기미는 찾기 힘들었다. 우루과이의 수도 몬테 비데오에 갔다. 땅 면적은 작지만 일찍이 스페인과 이태리등의 영항을 많이 받아 시내의 건물들은 유럽의 어느 도시에 온 것 같았으나 공항에서 호텔로 가는 동안 도로에 운행되는 승용차들이 적어도 몇십년 이상은 됐을 것 같은 옛날 차종이였다. 박물관에 있으면 딱 맞을 차들.. 그러니까 영화 '보니 앤 클아이드'에서 두 남녀 강도들이 몰고 다니던 1930년대의 그런 차들이 어렵지 않게 눈에 띄였다.
중동이나 아프리카에서 듣던 품질 문제와 선적 지연 문제를 제기하며 본사의 개선을 강력하게 요구했다. 자동차를 주문해서 대금 결재로 신용장을 개설하고 나면 대리점이 보유하고 있는 신용 대출의 한도를 다 써버리기 때문에 자금의 유동성이 어려워 진다는 것이다. 자금의 회전이 안된다고 했다. 신용장을 개설하고 자동차가 반년 가깝게 걸려서 도착한다면 일년에 몇번 장사할 수 있겠느냐는 것이였다. 맞는 말이다. 나는 정중하게 사과했다. 최대한 노력해서 여러가지 개선을 약속했지만, 하염없는 한숨만을 혼자서 내 쉬었다.
몬테비디오에는 우리나라 원양어선이 잠시 기항하는 곳이라고 했다. 그래서 한국 식당도 있는데 보잘 것 없지만 우리 음식을 먹는 다는 게 얼마나 행복한 일인지 장기 출장을 해보지 않은 사람은 모를 것이다.
가게 쇼원도에 전시된 물건마다 붙어있는 가격표에는 동그라미가 보통 대여섯 개가 그려져 있거나 숫제 가격이 미국 화폐 단위인 달러(US$)로 표시되어 있었다. 자동차 같은 내구성 상품은 아예 활부가 불가능 할 정도였고 자국 화폐의 가격은 없었다.
그동안 남미를 담당하면서 여러나라를 방문 상담했었지만 이들 나라들의 고질적인 상상할 수없는 높은 물가 상승이었다. 즉 엄청난 인플레이션이었다. 이런 불안정한 경제사정으로 내가 담당하고 있는 동안 남미에서의 판매는 지지부진 고전할 수 밖에 없었다.
대리점이 현대에 생산 오더를 발송하고 차를 인수할 때 쯤이면 이미 반년 이상의 세월이 지난다. 생산 선적의 물류 시스템이 미비된 상태에서 공장의 생산성 위주로 생산하다 보면 수주된 자동차 생산이 완료되기 까지는 칠 팔개월이 걸리는데 다반사였다. 그 동안 환율은 올라 발주당시와는 비교할 수가 없을 정도다. 이런 이유로 수입비용은 엄청나게 오를 수 밖에 없었다.
그래서 생각한 것이 경제 블록화되고 있는 남미 여러나라의 역내에서 생존하는 길은 높은 관세장벽을 넘어야 한다. 대리점에는 너무 긴 자동차 발주에서 입고까지의 리드타임을 단축시켜야한다는 해결의 열쇠를 찾은 것이다. 이렇게 해서 조립공장을 가져야 한다는 신념이 굳어졌던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