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 당시 네덜란드 하면 우리나라 사람들은 구한말에 고종의 밀사로 한일 합방의 부당함을 전세계에 알리기 위해 파견되었던 이준 열사의 이야기만 어렴풋하게 알 정도였다. 그리고 튤립과 풍차...또 하나, 짠돌이라는 뜻으로 쓰이는 덧치페이라는 단어. 네덜란드는 우리나라 남한의 절반도 안 되는 땅을 가진 작은 나라이지만 한 때는 대양을 건너 남아프리카 공화국, 인도네시아, 남미 수리남까지 식민지를 거느린 막강한 해양국이었다. 인구는 우리의 3분의 1밖에 안되지만, 국가위상은 우리나라보다 훨씬 강한 나라임에 틀림없다. 일 인당 국민소득도 30년이 지난 지금 4만 달러를 넘는 부유한 나라이다. 이 작은 나라가 어떻게 이런 부를 창조할 수 있는가는 우리 모두 연구할 가치가 있는 대목이다. 하자만 여기서는 이런 이야기를 쓸려고 하는 게 아니다. 경험도 없는 젊은 세일즈 맨들의 좌충우돌하는 이야기를 주로 써볼려고 한다.
나를 스키폴 국제공항에 먼저 나와있는 주재원이 마중나와 우리가 현지에서 판매할 현대자동차 Pony를 한참 차를 몰고와 도착한 건물은 초원 위에 있는 그야말로 남진의 '저 푸른 초원위에 그림 같은 집'에 도착했다. 먼저 이곳으로 발령 받고 와 일하고 있던 동료와 인사를 하고 현지 법인장 전무님께 도착 인사를 드렸다. 몇 명 안 되는 직원들로 고군 분투하던 분들이라 새 쫄다구를 반갑게 맞이해주었다.
내 방이라고 정해준 방은 건물 현관문 바로 옆 문간방이었다. 먼저 도착한 친구들이 좋은 자리 차지하고 나한테 이런 방을 남겨놨겠지. 헐헐. 조그만 침대 하나에 벽에 붙은 라디에이터. 사무실과 숙소를 겸용으로 쓰는 건물이기 때문에 첫 번째 해외 근무하는 것으로 설레었던 나는 계속 실망만 하게 된다. 침실을 사무실로 쓰라니.. 젠장 이게 무슨 소꿉 장남도 아니고, 이게 뭐람 하며 투덜 댔지만 그 소리를 들어줄 사람은 아무도 없었다. 짐을 내려놓고 건물을 둘러 보았다. 화란인 직원들과도 인사를 나누었다. 건물의 아래층은 사무실이 있고 겸용으로 쓰고 있는 침실도 있다. 그리고 주방이 있는데 당시 70년대 후반의 우리 생활과 비교하면 그야말로 서양식 주방 싱크대에 드럼 세탁기와 접시 세척기까지 있어 한편 신기하기도 했다.
펼쳐두기..
발음하기 힘든 현대(Hyundai)
자동차 정비에 필요한 부품을 본사에서 조달하여 딜러에 공급하는 업무가 내가 맡은 일이었다. 나를 도와 일했던 직원은 에드 환 달렌(Ed van Daalen)이라는 현지인이었다. 훤칠한 키에 굵을 테 안경을 낀 부지런 한 친구였다. 처음 회사를 설립하는 단계여서 거래처를 새로 발굴하는 일이 하루 일과의 대부분이었다. 지금 같이 인터넷이 있는 것도 아니어서 견적을 요청하거나 필요한 물품을 발주하기 위해서 하루 종일 전화통을 붙들고 있다. 어디에 있는 현대자동차라는 회사라고 소개를 하는데 현지인들은 '현대'를 '하이운다이' 라고 발음해 옆에서 발음을 고쳐주곤 했다. 그는 현대를 소개하면서 현대를 H포 헨드릭, Y 포 입실론, U 포 우트레흐트, N 포 네덜란드... 이렇게 스펠링을 음성표기로 가르쳐 주면서 하루 종일 땀을 흘렸다.
네덜란드 말은 참 듣기 거북할 정도로 이상하다. 목구멍의 가래 뱉는 소리를 많이 내는 덧치어의 단어는 어찌나 긴지 스펠링 외는데 보통 일이 아닌듯 싶었다. 그냥 잘해야 '현다이'이다. 전세계에서 그 당시 현대는 '휸다이'라고 부르는 게 보통이었던 시절이다. 지금도 크게 달라진 것이 없다고 보지만. 이들은 내 이름도 이상하게 부른다. 현지 네덜란드 사람을 만나 명함을 건네주며 "내 이름은 명헌 전입니다."라고 소개하면 명함을 들여다 보며 "오! 마이웅 훈 윤." 한다. 나는 이들과 근무하면서 차라리 내 이름을 현지화하는 게 좋겠다 싶어 영자 M이 들어가는 이름을 몇개 골라 가장 기억하고 발음하기 쉬운 Mark로 정하여 사용하기 시작했다. 그때 시작한 Mark는 30년이 지난 지금도 전세계 나를 아는 사람들이 부르는 이름이 되어버렸다.
지금은 많은 나라에서 현대를 비슷하게 발음하지만 그것은 현대가 1986년에 미국에 진출하면서 현대의 발음을 'Hyundai like Sunday' 로 Car that makes sense 라는 메씨지와 함께 교육(?)시킨 덕일 것이다.
revised
Mark란 이름의 유래가 여기서 시작되었군요.
답글삭제어려운 현다이가 외국인에게 익숙한 이름으로 자리 매김했으니 대단한 일 입니다
@마실 - 2009/04/07 22:41
답글삭제Mark가 이제 서른 한 살에 되었네요.
아아..그런 히스토리가 있었군요..'현다이'하면 일본식 발음인줄 알았는데..^^;;
답글삭제@엔시스 - 2009/04/08 11:01
답글삭제아직도 제대로 발음하는 나라는 별로 없어요. 미국서는 Hyundai like Sunday 교육으로 '헌데이'라고 하는 사랍들이 많고요..
그래서 Mark님이군요.
답글삭제@꿈사냥꾼 - 2009/07/03 22:58
답글삭제아, 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