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사절단 일원으로 남미 주요국 순방 출장나오셨던 사장님은 귀국하셨다. 이제 나는 나의 본연의 임무를 수행하기 위해서 현지에 남아 남미 여러나라 대리점을 순방할 계획이었다. 새로 지역 담당을 맡게되어 각 대리점과의 사업계획도 다시 리뷰할 일도 있고 당장 계획된 생산 오더도 집행토록 하기위해 대리점 방문은 하루에 끝나지 않고 며칠 걸리는 경우도 있었다.
아르헨티나에서는 더욱 힘들었다. 나라의 경제가 얼마나 부실한지 인플레이션은 연 몇백 퍼센트나 되었다. 하루종일 대리점과 입씨름을 하다 피곤한 몸으로 호텔에 돌아오기도 했다. 대 미국달러 환율은 아침 저녁 다르게 폭락하고 있었다. 미화를 그대로 가지고 있으면 다음 날은 더 많은 아르헨티나 화폐로 환전할 수가 있었다. .
하루는 시간 여유가 있어 부에노스아이레스 시내의 쇼핑몰인지 시장 같은 곳을 들렀다. 워낙 페소가 약세이고 연일 환율이 떨어져 모든 물건 값이 달러를 갖고 있는 나한테는 개값이었다. 아주 쌌다. 집사람한테 줄 선물을 사려고 시장에 갔지만 딱이 뭘 살 건지 아이디어가 나오질 않는다. 이때 나를 수행했던 직원이 아르헨티나는 가죽 제품이 유명하기 때문에 가죽 옷을 사가지고 가는 게 어떻겠느냐고 말했다. 나는 고민하던 중 그거 좋은 생각이라고 대뜸 물건을 고르기 시작했다.
색갈도 좋고 디자인도 좋은 것을 찾았는데 문제가 생겼다. 싸이즈를 모른다. 마누라 싸이즈를 모르니 어떻게 할지를 모르고 있었다. 그 가게 여직원 중 키가 마누라와 비슷해 보이는 아가씨를 오라고 했다. 내가 우리 와이프 싸이즈를 모르는데 네 키가 얼마냐, 몸무게는 얼마냐 고 물었지만 대답을 하지 않고 웃기만했다. 그래 안아보자고 농담으로 말했더니 앞으로 다가선다. 이거 웬떡? 안아 보았지만 대중을 잡을 수가 없다. 그 아가씨한테 입어 보라고 하고는 이리저이 앞뒤로 보다 결국 그 비슷할 거라고 생각하는 싸이즈를 골라 반코트를 샀다. 당시 유행했던 쎄무 가죽이다. 진한 초콜릿 색갈인데 내가 보아도 참 좋아 보였다.
그 부피가 크고 무거운 가죽 반 코트를 몇 달동안 출장 다니면서 들고 다녔다. 해외여행 경험이 없기때문에 요령없는 사람의 실수였다. 앞으로 다닐 출장 계획을 봐가면서 개인 쇼핑도 할 것 안할 것을 가려야 하는데 싸다는 이유로 그냥 산 것이 이렇게 무거운 짐이 될줄이야. 고생하면서 들고 다니다 귀국해서 마누라한테 선물이라고 주었지만, 자기 싸이즈에 맞지 않고 크다면서 짜증을 내는 게 아닌가. 나는 화가 났다. 고생하면 가지고 온 것에 감사는 못할 망정 화를 내는 마누라가 야속했다. 나는 그 후로 한 동안 마누라한테 선물을 사주지 않았다. 지금도 절대로 옷같은 것은 거들떠 보지도 않는다.
지금의 대리점 사장 카비치올리는 1994년에 구대리점이 교체되면서 새로 지정된 사람이다. 그 전의 대리점은 수출 초기에 현대 대리점으로 지정되었지만, 국내 경기의 침체로 꽃을 피어보지 못하고 사업을 중단했다
1980년이면..
답글삭제저는 군에서 제대하고 복학하여
졸업을 앞둔 시점쯤 되군요.
이런 저도 여행자 수표 세대랍니다. ㅎㅎㅎ
선배님들처럼 열심히 생활을 해준
앞선분들이 있기에
그나마 우리가 이거만큼이나 살아간다는 생각입니다.
앞선분들 모두에게 감사드리며....
잘보고 갑니다.
고맙습니다.
멋진 한주 열어가시길 바랍니다.
@영웅전쟁 - 2009/09/21 13:13
답글삭제어떤 특정 세대만의 공으로 돌리기는 뭐하지요. 연년세세 다 같이 힘을 합해 일한 결과가 아니겠습니까? 영웅전쟁님도 행복한 한주 엮어나가시기 바랍니다. ^^
우와 1980년... 진짜 영웅전쟁님이 말씀하신 것처럼.. 지금의 우리나라를 있게한 선배님시군요 ^^ 지금처럼 해외 나가는게 일반적이지도 않았던 시대라 그런지(물론 저는 이야기로만 알고 있지만요 ^^;;) mark님 과거 일기가 기대가 됩니다 ^^
답글삭제@gemlove - 2009/09/21 16:14
답글삭제ㅎㅎ 더듬더듬 기억하면 웃기는 일만 골라 쓰려고 합니다. 지켜봐주세요.
^^ 정말 재미있는 일화시네요~ ㅎㅎㅎ
답글삭제훌륭한 교훈을 주셨습니다 옷은 선물로 사지 말아야겠어요 ^^
고생고생해서 산것을 가져다 주었는데.. 저런 반응이라면 저도 몇년은 선물 같은건 사주지 않았을겁니다..ㅋ
답글삭제정말 훌륭한 교훈~ 옷은 꼭 함께 가서 사줘라..ㅋ
@nixxa - 2009/09/21 18:36
답글삭제고생해서 선물 갖다 주었으면 감사하다고 하는 게 정상이지 어디다 불평을 하느냐 이겁니다. ㅋㅋ
@드자이너김군 - 2009/09/21 18:52
답글삭제옷은 절대 혼자 사지 마세요. 돈쓰고 혼납니다. ㅎㅎ
색있는 화운데이션 샀다가 색갈이 않맞는다고 투정도 들었습니다. ㅠ.ㅡ
사모님이 여자분이라는 사실을 깜빡하신 것 같군요. ㅎㅎ
답글삭제저는 오래 전부터 개인적인 기호품은 절대로 혼자 사지 않는다는...
그런 교훈을 여기서 재확인하게 되는군요.^^
어쨌든 고생많이 하셨습니다. ^0^~
@spk - 2009/09/21 22:22
답글삭제지금도 매일 고생하면서 산답니다. ㅜ.ㅜ;; 누가 나좀 살려줘요~!
맞아요.. 여행할때는 최소한의 짐으로 가볍게 이동하여야 되는데...
답글삭제무거운 짐을 가지고 다니면 여간 불편한 게 아니죠 ㅜㅜ
하아.. 싸이즈가 딱 맞았으면 좋았을텐데 ^^*
아쉽네요~!
이 Once upon a time.... 연재는 책으로 내셔도 좋을듯 합니다. 누구 출판관계자분 없으실까요? 처음으로 돌아가 차분히 읽어야 겠습니다.
답글삭제수백편분량은 나올듯.....
좋은글 잘 보고 갑니다.
여자들은 대부분 비슷한 모양입니다. 저도 비슷한 경험을 한적이 있는데 그래서 절대 혼자 선물 고르는 일 없습니다. 연애시절에는 별 말이 없더니만 결혼후에 연애감정으로 선물했다가 혼만 나고 야속한 적이 있었습니다. 그래서 선물 잘 안하고 본인이 직접 고르라고 하는데
답글삭제요즘은 왜 선물 같은게 없냐고 이야기 할때도 있습니다. 재밌게 잘 읽었습니다.
고생해서 가죽옷 갖고 다니셨는데.. 허탈하셨겠습니다...
답글삭제선물이라는게 참 힘들어요.. 특히 여자들에게는요... ^^;;
부에노스아이레스의 의미가 재밌습니다..
오늘도 행복한 하루 되세요... ^^
헙.. 고생한 보람이 없으셨네요.ㅎㅎ
답글삭제@악랄가츠 - 2009/09/22 01:00
답글삭제그러게 말입니다. ㅎㅎ 갈길이 먼데 그 무거운 것을 샀으니..
@빨간내복 - 2009/09/22 01:19
답글삭제실수 연발, 수출 초기의 에피소드 중에 글라 써볼려고 합니다.
@엔시스 - 2009/09/22 08:16
답글삭제우리 마늘이 좀 까다로운 거 같아요. 가끔 힘들어요. ㅜ.ㅠ
@라오니스 - 2009/09/22 08:37
답글삭제그것 뿐인줄 아세요? 또 있어요.
@띠용 - 2009/09/22 19:17
답글삭제그래도 나 같으면 선물 사준 사람한테 짜증은 안낼 것 같은데 흐흐
아 .. 고생한 보람이 없을 때의 느낌이란 ㅠ_ㅠ ㅋㅋ ^^
답글삭제허무해요 ^^ 어떤 느낌이 없을 때가 가장 ... 하지만 그것도 삶을 살아가는데 하나의 느낌 내가 살아 있다는 느낌이 아닐까요^^?ㅎ
@II Fenomeno - 2009/09/22 22:25
답글삭제다양한 삶의 형태지요 ㅎㅎ. 그때는 저도 화났답니다. 다시는 암것두 안사준다고.. 그러나 어디 그렇게 됩니까?
지금은 그 때보다는 경제가 나아졌겠지만,
답글삭제부에노스아이레스는 과거의 영광에만 몰두하고 있는 도시 같다는 느낌을 받았습니다.
그래도 아름다운 곳이었어요.
@boramina - 2009/09/23 22:52
답글삭제도시는 거대하고 웅장했는데 실망이 컷든... 매력을 못 느끼고 왔답니다. 한 서너번 이상 출장으로 가봤는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