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정비부와 해외부풉부
나는 처음 부서 배치를 받아 책상이 주어지고 자리를 잡으면서 조직표를 들여다보았다. 이름이 참 이상하다는 생각이 들었다. 무조건 업무의 성격으로 주어진 부서 이름 앞에 해외를 붙인 것이 이상하게 들렸다.
아무튼, 내가 속해있는 부품부와 그 옆의 정비부는 모두 자동차가 고객에게 판매된 이후 아프터서비스를 위한 지원하는 부서이다. 부품 없이는 정비는 불가능해지고 정비 기능이 없으면 부품이 있어도 소용이 없다.
해외 정비부는 선적 전 차량의 사양점검과 간단한 성능을 점검을 뜻하는 PDI를 하기도 하고, 이미 고객에 판매된 차량에 대한 품질 보증업무를 맡는 일을 한다. 해외정비부와 가장 많은 갈등을 가졌던 부서는 해외부품부가 아니었던가 기억된다.
펼쳐두기..
대리점의 품질문제에 대한 고정처리를 위해서는 자동차 수리용 부품이 있어야 했으나 대개 대리점은 필요한 부품을 확보하지 못하고 있었다. 이유는 대리점이 사전에 부품재고를 확보하지 않은 이유도 있고, 한편으로는 비록 대리점은 발주를 했으나 해외부품부에서 공급을 하지 못한 경우도 허다했기 때문이다. 또 자동차를 수출하는 현대자동차도 포니를 판매한 기간이 짧아서 어떤 부품이 품질 문제가 많았으며 어떤 부품이 많이 소모되는지에 대한 정보도 통계도 없었기 때문에 대리점에 초기 필수확보 부품 리스트를 제공할 수 있는 자료도 없었다.
여기에 더 기가 막힌 것은 대리점이 어떤 부품을 구매하기 위해서 필수적으로 필요한 참고 자료인 부품 카달로그가 있는데 부품을 담당하는 해외부품부에서 카달로그를 발간하는 것이 아니고 해외정비부에서 발간을 하고 있었다. 카달로그에 등재되는 부품목록은 각 주요 부품의 부속품을 적절히 공급단위로 분해되어 등재되어야 하나 그렇지 못해 자주 문제를 일으키고 있었다. 카달로그에 등재되어야 할 부품은 정비의 용이성과 고객이 부담해야 할 부품 가격도 고려해야 한다. 다시 말해서 정비 성만을 생각한 큰 단위의 부품을 통째로 교체하도록 하는 것이 아니고 작은 필수부품만 교체해서 수리할 수 있도록 고려한 공급단위를 결정해야 했다. 그러나 이런 배려가 전혀 되어 있지 않았다.
그 당시 해외부품부는 단독 부품조달의 기능이 없었다. 없었다기보다는 준비가 안 된 상태였고, 정비담당 부서에서 발간한 부품카달로그는 그야말로 카달로그로서의 기능을 할 수 없었다. 카달로그에 있어야 할 부품이 누락된 것이 비일비재였기 때문에 대리점에서는 정비요원이 자동차 수리를 위해 필요한 부품을 주문하기 위해서 부품번호(Part Number)를 조회하고 싶어도 카달로그가 전혀 도움이 되지 않았었다.
이런 현실이 전혀 고려되지 않은 카다로그를 근본적으로 개선하기 위해서 부품부에서 발간 해야 한다고 부서장에 건의했으나 그것을 관철하지 못했다. 앞에서도 말했지만 부품부는 도대체 준비가 전혀 안된 부서였다. 소프트웨어 측면에서나 하드웨어 측면에서 전혀 해외부품부로써의 업무 준비가 전혀 되지 않았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었다.
이렇듯이 부서 설립단계에서 한국 자동차산업 역사상 처음 하는 일들이니 업무표준이 있을 리 없고 표준도 없었으니 부서 간 갈등도 자연스러운 일이었을 것이다. 필자가 지금 이런 얘기를 하는 것도 사실 그 당시 모든 것을 알았기 때문에 말하는 것은 아니다. 많은 부분이 회상하면서 지적되는 것들이지만 그래도 그 당시에도 보면 문제투성이였던 것만은 틀림이 없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